11월의 1독 도서

비인지능력 키우기 엄마 수업

Bork Shigeko 지음

대경북스

232쪽|141 * 211 * 20 mm|373g


큰 아이가 유치원에 갈 연령이 되면서부터 늘 교육에 관한 부분이 신경쓰였다.
막상 놀리자니 남들보다 떨어질 것 같고, 벌써부터 공부를 시키자니 안그래도 긴 레이스의 시작을 너무 일찍 시작하는 것 같고, 결국에는 이도저도 아닌 상태에서 아이가 지칠까 걱정이 되었고.
인공지능과 더불어 살아갈 이 시대에 과연 인지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끝까지 살아남을까?
라는 고민과 함께 읽기 시작한 책에서 접한 단어.
‘비인지능력’
총합적인 인간력을 가리키는 말로 좀 더 쉽게 이야기하자면 공부를 통한 학습으로 길러진 능력이 아닌 실제 생활에서 몸으로 익힐 수 있는 ‘살아가는 힘’을 의미한다.
수치로 나타나는 능력을 ‘인지능력’이라고 한다면 수치로 표현할 수 없는 능력이기에 ‘비인지능력’이라고 부른다.

이 전에 읽었던 책들이 거의 비인지능력에 관련한 책이었던 것같다.

특히 10월에 읽었던 유대인 엄마의 힘이라는 책에서는 유대인들의 양육방식을 통한 비인지능력을 키우는 이야기들이었다면 이 책은 뉴욕에서 육아와 병행하며 커리어를 쌓아 자신의 목표를 향해 나가는 엄마의 이야기이다.

물론, 하나뿐인 외동딸은 2017년 '전 미 최우수 여고생' 컨테스트에서 우승을 한 이력이 있다.

유대인 엄마의 힘에서는 정말 말 그대로 유대인 엄마가 아이들을 양육한 이야기이고, 

이 책은 비인지능력을 키우는 방법들이 소개가 되어 있다.

각각 다른 이야기이긴 하지만, 읽어보면 두 책에서 비슷한 부분들이 제법 있다는 것이 느껴져 신기했다.

한 분야에서 길게 살아남는 사람들을 잘 살펴보면 공통점을 찾아낼 수 있다.
힘든 상황속에서도 꺾이지 않고,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고, 반드시 꼭 해내는 등의 비슷한 공통점들이 있는데
나는 이 것들이 비인지능력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나는 내 아이들이 이런 능력을 가진 아이들로 성장하길 바랬고,

더 나아가 앞으로 성장할 나도 이런 능력을 가지길 바라고 있다.
이 책은 비인지능력으로 자식을 성공적으로 키워낸 어머니의 이야기이다.
비인지능력이 왜 필요한지부터 시작하여 실생활에서 활용하는 방법들이 소개되어 있다.
어떤 식의 대화가 아이의 비인지능력을 키울 수 있는지, 아이와의 놀이에는 어떻게 참여해야 하는지 등
작가가 아이를 키우며 겪었던 일들을 사례로 들고 있어 이해도와 실생활에 적용시킬 수 있는 활용도가 높다.

무엇보다 제일 좋았던 것은!
나는 일단 아이가 아니라 부모이기 때문에 부모를 위한 이야기가 있는 육아서를 좋아한다.
이 책에도 역시 그런 부분들이 나오는데, 5,6장의 내용들이 그러하였다. 부모의 행복과 열정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와있다. 자기긍정감이 높고 행복한 부모가 있어야 아이들 역시 그렇게 성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너무 다 잘 하고 잘 해내려고 안간힘쓰며 불행한 부모보다는 부족함을 인정하고 아이들과 함께 성장을 도모하는 부모가
더 행복하고 몸과 정신이 건강한 아이들로 키울 수 있을 것이다.
특히 6장에서 나오는 열정에 관한 이야기들은 나의 삶과 육아 사이에서의 워라밸을 잘 조절할 수 있다는 용기를 주었다.
워킹맘이기 때문에 보통 나의 삶을 포기한 채 일과 육아 사이에서의 밸런스를 조절하기 바빴는데
(그리고 엄마는 그래야만 할 것 같기도 했다.)
지금껏 살아오며 만들어진 나의 정체성에 ‘엄마’라는 정체성을 더한 것 뿐이라는 이야기에
내 삶에 좀 더 욕심을 내도 되겠구나 라는 위안이 들었고 더 열심히 살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었다.
비인지능력은 단지 아이들만을 위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능력이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다.
아이와 함께 성장하길 소망하는 모든 부모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10월의 2독 도서.

유대인 엄마의 힘

사라 이마스 지음

위즈덤 하우스

280쪽|145 * 210 * 10 mm|471g


하브루타에 관심이 생긴 뒤로부터 유대인 부모들은 아이들은 어떻게 양육하는지 궁금했다.

내가 바라는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이스라엘의 그 것과 일맥상통한 점이 많아서 더욱 궁금했던 것 같다.

그러다가 알게 된 책인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고개를 끄덕이며 읽은 부분들도 제법 많지만

대한민국에서 나고 자란 나로써는 완벽하게 받아들이기에 적잖이 심란한 부분들도 많았다는 점.

글쓴이인 사라 이마스는 중국에서 아이를 키우던 유대인 엄마다.

남편과의 이혼 후, 본국으로 돌아가 세 아이를 키우며 겪었던 일들과 그럼으로 체득하게 된 유대인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이야기들이 소개된 책이다.

대부분 아동기 이후의 양육에 관련한 내용들이어서 영유아 자녀를 둔 나에게는 아직 먼 이야기인 듯 싶다가도

아동기 이후에 갑자기 양육방식이 확 돌변하는 것은 아니지 않겠는가..

겉표면만 보면 아이들을 너무 가혹하게, 혹은 매정하게 대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유대인 부모가 그렇게 아이들을 양육할 수 있는 밑바탕에는 자녀를 향한 큰 사랑이 깔려 있다는 것이고,

부모가 자녀들에게 절반의 사랑을 감추어도 자녀들이 잘 성장했다는 것은 부모와의 애착이 잘 형성되어 있다는 증거일 것이다.

유대인들의 위대함은 전 세계적으로도 유명하다. 

수 많은 노벨상을 휩쓸었고, 전 세계의 경제와 학문 등 여러 방면에서 성공한 사람들이 많다.

지능지수로 따지고 보면 유대인들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능지수가 더 뛰어난 편이지만

어째 한국인들은 노벨상을 받았거나, 세계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

여간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지난 달에 읽었던 책 중에 '최고의 교육' 이라는 책에 보면 비인지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들이 소개되어있다.

협력(Collaboration), 의사소통(Communication), 콘텐츠(Content),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창의적 혁신(Creative Innovation), 자신감(Confidence) 이렇게 6가지 역량을 비인지역량으로 소개했었는데

유대인 부모의 양육방식은 이러한 비인지역량을 키우는데 탁월하다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책을 읽다보면 공부법에 관련한 내용은 거의 나와있지 않다. 

'우리 아이는 성공하기 위해 하루에 몇 시간을 공부했고, 좋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무엇을 했고~'

이런 이야기가 전무하다는 것이다.

아이가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어떤 도움을 주었는지, 아이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답을 찾을 때 어떤 식으로 적절한 조언을 해 주었는지, 아이가 어떻게 인간관계를 형성했고 어떻게 유지했는지 등의 이야기가 전부이다.

그렇다고 책에 나온 글쓴이의 아이들이 전혀 공부를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청소년기에 공부만 했다는 것이 아니었다. 우리나라 정서로 이해하기는 굉장히 힘든 일이고 우리나라에서 적용시키기에도 힘든 일이지만 말이다.

글쓴이의 아이들은 스스로 몰두할 수 있는 일을 발견해 목표를 설정하였고, 그 목표를 향해 물론 공부도 하였지만 기회가 왔을 때를 대비하여 공부를 제외한 다른 역량들도 준비를 했다는 것이다. 부모가 주체가 된 준비가 아닌 아이들 스스로 주체가 된 준비였다는 것이 여기서 또 중요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책을 접으며 참으로 많은 생각이 들었다. 아마도 나는 한국에 살기 때문에 글쓴이처럼 아이들을 양육하지는 못 할 것이다. 하지만 가정 내에서 만큼은 책에 소개되었던 내용들을 어느정도 접목시켜 양육할 계획을 세웠고, 글쓴이와 같은 방식은 아니겠지만 우리만의 방식을 찾아내어 아이들을 양육할 계획을 세웠다. 계획한 것처럼 척척 일이 진행되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노력은 해 볼 생각이다.

사실 '최고의 교육' 을 읽으면서 비인지역량에 대해 조금은 두루뭉술한 느낌을 받았었다. 어떤 것이 비인지능력인지는 알겠으나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을 시켜야 할 지 고민이 많았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런 고민들이 해소된 기분이 든다. 단순히 공부를 잘하는 아이가 아닌 앞으로 살아가면서 자기 자신을 스스로 만들어 나갈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꼭 한 번은 읽어보면 도움이 될 책이다.

+ Recent posts